newsletter
소중한 자신의 가치를 찾도록 도와주는
마음 치유 콘텐츠를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김봉경
요리사
실패도 성공도, 쌓이면 토대가 돼요
• 무언가를 도전하기에 늦은 나이란 없어요. 연기를 그만뒀을 당시에는 남들보다 뒤처졌다고 생각했지만, 실패가 있었기에 오히려 요리라는 또 다른 길을 찾았어요.
• 어떤 경험이든 나를 지탱하는 토대가 될 수 있어요. 혼자 차린 첫 쿠킹 스튜디오가 잘되지는 않았지만, 그 시행착오를 통해서 저에게 맞는 요리를 찾을 수 있었어요.
• 20대와 30대를 모두 지나 보니,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중요해졌어요. 함께할 수 있는 이 순간은 다시 돌아오지 않잖아요.
20대 때 연기에 도전했던 적이 있어요. 열심히 했지만, 무언가 불편한 옷을 입은 것만 같았어요. 연기를 계속할 수 없다고 생각했고, 결국 연기를 그만두게 되었어요. 가만있지 말고 다른 일을 찾아야겠다는 생각에 요리를 시작했습니다.
무엇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몰라서 일단 자격증을 준비했어요. 자격증 취득에 성공하면서 성취감을 느꼈고, 자연스럽게 더 파고들게 되더라고요. 실패를 해봤기 때문에 다른 길을 걸을 수 있었고, 요리라는 재능을 찾았어요. 실패도 인생에 있어서 꼭 필요한 부분 아닐까요.
연기를 그만뒀을 당시에는 남들보다 많이 뒤처졌다고 느껴졌어요. 친구들은 취업을 준비하는데, 저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했으니까요. 그런데 돌이켜보면 무언가를 도전하기에 늦은 나이는 없는 것 같아요. ‘지금 내 나이에 이걸 시작해?’ ‘난 할 수 없을 거야.’라고 생각하다가도 나중에 가서 ‘그때 도전할걸.’이라며 후회하는 사람들을 많이 봤어요. 지금 제 나이가 딱 마흔인데, 지금도 무언가를 시작하기에 늦었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요리를 시작한 뒤 혼자서 쿠킹 스튜디오를 차린 적이 있어요. 잘 풀리지는 않았지만, 그 경험은 헛되지 않더라고요. 겪었던 시행착오가 저에게 맞는 요리를 찾는 기반이 되기도 했고, 결국 배운 점을 토대로 ‘부어케’라는 쿠킹 스튜디오를 다시 차릴 수 있었거든요. 살아가면서 성공이 있다면 실패도 있잖아요. 어떤 경험이든 하나하나가 모여지면 무언가를 결정하고 선택할 때 나를 지탱하는 토대가 되는 것 같아요.
샤워할 때마다 ‘내가 잘하고 있나?’ ‘내가 좋아하는 게 뭐지?’ 스스로 질문을 던지면서 나를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요. 그렇게 질문을 던지다 보면 ‘이거다.’ 싶은 게 있더라고요. 그렇게 내가 좋아하고, 설레는 것이 무엇인지 알았다면 작은 도전이라도 시도해야 해요. 그렇게 경험과 성취감을 얻다 보면 자신의 길을 찾을 수 있어요.
처음 요리를 시작했을 땐 어떤 음식이든 잘해야 하는 줄 알았어요. 그런데 계속 요리를 배우다 보니 요리 안에서도 내가 잘할 수 있는 분야라는 게 있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그때부터 발효를 열심히 배우고 공부하기 시작했어요.
돌이켜보면 외할머니의 손맛을 기억하고 싶은 마음이 발효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 것 같아요. 어릴 적 할머니가 고두밥을 찐 다음 방에 가져와 얇은 이불을 덮어두시던 기억이 있어요. 그때는 “왜 이불을 왜 덮어두지?”라고 생각했어요. 요리를 시작하고 나서야 할머니께서 쌀누룩을 만들어 쓰셨고, 발효 과정으로 음식에 깊은 맛을 내셨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발효에는 기다림의 시간이 꼭 필요해요. 처음에는 식재료의 맛과 향이 전부 따로따로 놀지만, 발효 시간을 거치면 고유한 맛과 향이 나타나요. 발효는 어떻게 보면 단순하죠. 기다리면 꼭 보답해주니까요. 삶이라는 것도 마찬가지인 것 같아요. 살다 보면 실패도 겪을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각자의 인생의 다양한 맛과 색이 나타나잖아요.
요리는 육체적으로 너무 힘든 일이에요. ‘내가 이걸 왜 하고 있을까?’ 생각할 정도로 지칠 때도 있어요. 하지만 좋아하는 일이기 때문에 버틸 수 있어요. 요리를 손님들에게 냈을 때 정말 맛있다고 느끼시면 말없이 고개를 끄덕이시거든요. 그런 모습을 보면 뭔가 정말 찌릿하면서 소름이 돋을 때가 있어요. 이런 매력 때문에 요리를 계속하는 것 같아요.
20대를 정말 열심히 살았어요. 하고 싶은 일들에 계속 도전했어요. 30대에는 일과 육아를 병행하면서 정신없이 살았고요. 그 과정을 지나고 돌이켜보니 가정과 아이가 정말 중요하다고 느껴져요. 저희 딸이 일곱 살인데, 함께 있는 시간이 정말 소중해요. 지금 이 순간은 다시 돌아올 수가 없잖아요.
제가 좋아하는 일을 찾은 것처럼, 제 아이가 좋아하는 일도 찾아주고 싶어요. 책임감 있게 엄마로서의 일을 다하고 아이가 꿈꿀 수 있게끔 도와주고 싶어요.
요리책을 읽을 때마다 ‘나도 언젠가는 요리책을 내야지.’ 다짐했어요. 실제로 책 작업을 해보니 레시피를 만들고, 촬영하고, 원고를 쓰는 과정이 너무 힘들더라고요. 하지만 완성된 책을 딱 받았을 때의 느낌은 절대 잊을 수가 없어요. 계속해서 일할 수 있는 자양분을 얻는 기분이었어요.
저희 엄마는 ‘그건 하면 안 돼.’ 같은 말을 하신 적이 없어요. 항상 잘할 수 있다고 말해주시고, 힘들 때는 응원의 메시지를 보내주셨어요. 덕분에 버틸 수 있는 것 같아요.
요리 자격증 도전은 이 일을 잘할 수 있는지에 대한 확인 과정이었어요. 도전한 시험에 연달아 합격하면서 자신감을 얻었고, 큰 도움이 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