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OTE
정리하는 기쁨, 간소한 삶
곤도 마리에 정리법의 핵심 질문은 ‘무엇을 남길까’다. ‘무엇을 버릴까’가 아니다. 얼핏 보기에는 그녀가 ‘버리기’를 더 강조하는 것 같다. 심지어 그녀가 쓴 책의 제목조차 <설레지 않으면 버려라>다. 그러나 곤도는 버리는 것이 정리의 목적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모든 버리기는 제대로 ‘남기기’ 위해서 한다는 것이다.
playlife talk
'버리는 일의 본질은 남기기다.' 말장난처럼 들리기도 하지만, 남기는 일에 초점을 맞춰 고민하는 것은 분명 다른 일입니다. 버릴 것을 고민하다 보면 뭔가 중요한 것을 놓치는 게 아닐까, 필요한 물건을 잃는 게 아닐까, 같은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더 커지겠지요. 하지만 남기는 것을 중심에 둔다면, 내게 정말 필요한 것을 가려낼 수 있다는 확신이 더 앞설 것입니다.
심플하게 사는 것은 검소하면서도 현명하고 우아하게 살아가는 방법이다. 심플한 삶은 ‘충분하다’라는 마법과 같은 단어로 요약된다. 충분하다는 것을 개인적으로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행복의 기준도 달라진다. 모든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하는 사람에게 결코 충분함이란 없기 때문이다.
playlife talk
선택지가 많아질수록 우리는 자유로워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혼란스러워지곤 합니다. 수많은 콘텐츠의 홍수 속에서 고민만 하다, 정작 콘텐츠 볼 시간을 다 써 버리고 마는 우리의 모습을 떠올려 보세요. 만족하는 삶을 위해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무언가를 채우는 일이 아니라 이걸로 충분하다는 감각일 것입니다.
자신을 모른다는 건, 깜깜한 어둠 속을 끝없이 헤매는 것과 같은 상태를 말한다. 반대로 자신을 알고 있으면 주저 없이 직진할 수 있다. 자신이 어떤 공간에서, 어떤 물건에 둘러싸여, 어떤 사람과 교제하면 행복한가를 알게 된다면 불필요한 선택지를 늘리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게 된다.
playlife talk
내게 정말로 무엇이 필요한지를 모르기 때문에, 우리는 무언가를 더 손에 쥐려고만 애쓰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혹시 몰라서, 왠지 필요할 것 같아서, 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 나를 잘 모르기 때문에 막연히 필요한 것들이 늘어가는 것이지요. 필요한 것은 더 많은 선택지가 아니라, 있어야 하는 것들의 자리를 찾아 주고, 없어도 되는 것들을 목록에서 지워가는 일입니다.
내 방에서 세상을 탐구한다. 언제나 끼고 읽는 수많은 책, 칼럼, 가끔 영화. 가벼운 지적 유희가 나를 들뜨게 하고 교재를 펼치고 하는 목적 있는 공부가 성취감을 자극한다. 두 가지가 조화를 이루니 비로소 생활에 지적 풍요로움이 감돈다. 수많은 관심사에서 방황하던 나는 머릿속에 동경만 한가득인 일 말고 지금 시간, 체력, 돈을 실제로 쓰고 있는 일에만 집중하기로 했다.
playlife talk
언젠가는 할 거라고 생각한 일들은 몇 년 전에도 고민만 하던 일이었지요. 언젠가는 쓰겠지, 라고 생각하며 쟁여두었던 물건은 얼마가 지나도 먼지를 뒤집어쓰고 그 자리에 있고요.
'하고 싶은 것'의 세계에서도 비슷한 일이 벌어집니다. 그것도 '가능성'이라는 아름다운 포장지를 덮어쓰고 있지요. 퍽 가슴 아픈 일이지만, 마음의 공간에 꽉꽉 들어찬 잡다한 관심사들을 그만 보내주어야겠습니다. 그러고 나면 온전히 필요한 일들에 집중할 수 있는 기쁨이 그 자리를 채워줄 겁니다.
단순하게 살라는 것이 당신이 근무하는 사무실과 집 안의 구석구석을 완벽하게 정리 정돈하라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다. 단 한 가지만 실행에 옮기고, 그것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마음껏 즐겨 보라는 것이다.
playlife talk
미니멀리스트라고 하면, 우리는 모든 것을 완벽하게 정리 정돈하는 사람을 떠올립니다. 그보다는 오히려 명확한 나만의 기준을 통해 정한 한 가지 일을 제대로 수행하고 반복하는 사람일 것입니다. 딱 한 가지만 정확하게 실행한다고 생각한다면 어려울 것 같지 않습니다. 미니멀 라이프의 목표는 모든 것이 완벽하게 정리된 상태가 아니라, 내 삶을 단순하게 유지하는 규칙을 세우는 것이니까요.
주변에 질서를 부여하면 마음에도 질서가 자리 잡는다. 서랍에서 자질구레한 물건을 치우거나 벽장을 정돈하는 등 주변을 정리하고 단순하게 만들 때마다 우리는 자신의 인생에서 무언가를 통제하고 있다는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playlife talk
어질러져 있던 방을 싹 정리하고 나면 안정감이 찾아오는 경험, 다들 있을 겁니다. 내가 정리한 건 물건이지만, 마음 안에서도 혼란이 걷히고 집중되는 느낌을 받지요. 단지 느낌이 아니라, 실제로도 그렇습니다. 집안이 어수선할수록 패배감과 스트레스, 우울감을 더 많이 느낀다는 연구 결과가 있거든요. 마음이 어지러울 때는 일단 정리를 해야겠습니다.
나 자신의 가치는 갖고 있는 물건의 합계가 아니다. 물건으로 행복해지는 건 아주 잠깐 동안일 뿐이다. 필요 이상으로 많은 물건은 에너지와 시간은 물론, 결국에는 모든 것을 빼앗아간다. 이런 사실을 느끼기 시작한 사람들이 바로 미니멀리스트다.
playlife talk
곰곰히 따져보면, 물건이 기쁨을 주는 건 그것을 산 바로 그 순간뿐이었던 것 같습니다. 어떤 물건은 왜 샀나 후회스러울 때도 있고, 옷장에는 몇 년 째 입지도 않는 옷을 버리지도 못한 채 갖고만 있죠. 반짝 행복을 느끼는 그 순간 때문에 우리는 습관적으로 물건을 사는지도 모릅니다. 이 물건이 나에게 정말 필요한 것인지는 따져보지도 않고서요. 그 이후로 더 오랜 기간을, 쓰지도 못할 물건 때문에 더 많은 공간과 시간, 에너지를 빼앗길 텐데도.
곤도 마리에 정리법의 핵심 질문은 ‘무엇을 남길까’다. ‘무엇을 버릴까’가 아니다. 얼핏 보기에는 그녀가 ‘버리기’를 더 강조하는 것 같다. 심지어 그녀가 쓴 책의 제목조차 <설레지 않으면 버려라>다. 그러나 곤도는 버리는 것이 정리의 목적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모든 버리기는 제대로 ‘남기기’ 위해서 한다는 것이다.
playlife talk
'버리는 일의 본질은 남기기다.' 말장난처럼 들리기도 하지만, 남기는 일에 초점을 맞춰 고민하는 것은 분명 다른 일입니다. 버릴 것을 고민하다 보면 뭔가 중요한 것을 놓치는 게 아닐까, 필요한 물건을 잃는 게 아닐까, 같은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더 커지겠지요. 하지만 남기는 것을 중심에 둔다면, 내게 정말 필요한 것을 가려낼 수 있다는 확신이 더 앞설 것입니다.